코로나19, 추석 연휴 앞두고 '확산세' 심상찮다… 건강한 명절을 위한 주의사항
코로나19, 11주 연속 확산세… 추석 연휴에 드리운 그림자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입원 환자가 11주 연속 증가하며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다가오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어, 방역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점입니다. 37주차(9월 7∼13일) 전국 221개 병원급 의료기관의 표본감시 결과, 코로나19 입원환자는 46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주 433명보다 6.2% 늘어난 수치입니다. 지난 6월 26주차 이후 11주째 증가세라는 점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부분입니다.
입원 환자 현황: 고령층, 특히 주의해야
입원 환자 중 고령층의 비율이 높다는 점 역시 주목해야 합니다. 누적 입원환자 5,766명 중 65세 이상 노인이 60.9%(3,509명)를 차지하며, 50∼64세 17.7%(1,019명)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19∼49세 환자도 10.4%(597명)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고령층이 코로나19 감염에 더욱 취약하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가족, 친지들과의 만남이 잦아지면서 감염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검사 양성률 감소, 긍정적인 신호일까?
다행스러운 점은 검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것입니다. 37주차 검사 양성률은 30.8%로, 전주 39.0%에 비해 8.2%p 감소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둔화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릅니다. 질병청은 이달까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추석 연휴 기간 동안의 방역 수칙 준수가 매우 중요합니다.
추석 연휴, 건강한 명절을 위한 실천 수칙
건강한 추석 연휴를 보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 수칙을 기억해야 합니다. 첫째, 일상 속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기침 예절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방문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셋째, 감염 시에는 주요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자택에서 머물러야 합니다. 회사 등에서도 아프면 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위험군, 특히 주의하세요!
임승관 질병청장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가을 초입까지 이어진다”고 경고하며,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사람이 몰린 실내 행사 참석을 자제하고 외출 시 마스크 착용을 권고했습니다. 고위험군은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전한 추석 연휴를 위해, 고위험군은 다중이용시설 방문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며, 개인위생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건강한 추석을 위한 핵심 요약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다가오는 추석 연휴는 방역에 더욱 신경 써야 할 시기입니다.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입원 환자 증가, 그리고 긍정적인 검사 양성률 감소를 고려하여, 개인위생 수칙 준수, 마스크 착용, 고위험군 보호에 힘써 건강하고 안전한 명절을 보내도록 합시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추석 연휴, 어떤 점을 가장 주의해야 할까요?
A.가족, 친지들과의 만남이 잦아지는 만큼, 개인위생 수칙 준수와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Q.마스크는 언제 착용해야 하나요?
A.의료기관, 요양시설 방문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사람이 많은 실내 공간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권장합니다. 또한,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여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Q.코로나19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며, 방역 당국의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