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5억도 안 하는 동네에 강남 규제? 노도강 집주인들의 절규, 그 이유는?

핑크라이궈 2025. 10. 17. 16:21
반응형

부동산 규제, 왜 노도강을 덮쳤나?

최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이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특히, 집값 상승세가 둔화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집주인들은 강남과 같은 규제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규제 대상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대출 한도가 줄고,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매도마저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노도강, 왜 규제 대상이 되었나?

정부는 주택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이번 규제를 시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노도강의 경우 올해 집값 상승률이 서울 평균 상승률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노원구는 1.3%, 도봉구는 0.5%, 강북구는 0.77% 상승에 그쳤습니다. 이는 서울 평균 상승률인 6.11%는 물론, 송파구(15.22%)나 성동구(13.86%)와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남과 같은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실거래가 하락, 노도강의 현실

실제로 노도강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상계동 '상계주공13단지' 전용 45㎡의 실거래가는 올해 1월 3억7500만원에서 이달 3억4500만원으로 하락했습니다. '상계주공12단지'와 '월계주공2단지' 역시 실거래가가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노도강 집주인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수년째 집값이 내려 마음고생하는 집주인이 많다고 토로했습니다. 규제 강화로 인해 매도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규제 적용, 집주인들의 반응

노도강 지역의 집주인들은 정부의 규제에 대해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습니다. 도봉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국민 평형이 70억원인 동네와 5억원인 동네에 같은 규제를 적용하면 어쩌자는 것이냐라며, 서울 변두리에 토지거래허가제까지 적용하는 것은 반서민적 행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규제가 오히려 실수요자들의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과 제언

전문가들은 외곽 지역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현금 여력이 적은 비핵심·외곽 지역은 대출 규제 여파로 거래 절벽과 가격 하락이 예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실수요층에 대한 DSR·LTV 완화와 소득 대비 상환능력 기준 세분화를 통해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사다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도강, 규제 완화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노도강 지역에 대한 규제 완화 가능성은 불투명합니다. 하지만, 집값 상승세가 둔화되고 실거래가가 하락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정부는 노도강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실수요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주택 시장의 안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핵심만 콕!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노도강 지역 집주인들의 불만이 폭발했습니다. 낮은 집값 상승률에도 불구하고 강남과 같은 규제를 적용받으면서, 실거래가 하락과 매도 어려움에 직면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맞춤형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노도강 지역 집값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A.현재로서는 하락세가 예상되지만, 정부 정책 변화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Q.노도강 규제 완화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A.집값 하락과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규제 완화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가 필요하며, 시장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Q.노도강 지역에서 집을 사도 괜찮을까요?

A.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규제, 금리 인상,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