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급한 상황, 순찰차의 눈에 포착되다
지난달 16일 오전 10시 30분쯤, 경기 광명시의 한 도로에서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순찰차를 몰던 광명지구대 소속 김 모 경위와 김 모 경사의 눈에, 비상등을 켠 채 주행하는 흰색 SUV 차량이 포착된 것입니다. 그 차량 안에서는 바깥에서도 들릴 정도로 큰 비명이 울려 퍼지고 있었습니다. 김 경위와 김 경사는 즉시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다고 판단, 차선을 변경하여 해당 차량을 뒤따르기 시작했습니다.
멈춰선 SUV, 절박한 외침
얼마 지나지 않아, 흰색 SUV는 우측 도로변에 멈춰 섰습니다. 이내 차량 뒷좌석에서 여성 A 씨가 기저귀만 찬 채 축 늘어진 B(3) 군을 품에 안고 내렸습니다. A 씨는 순찰차를 향해 있는 힘껏 달려왔고, 절박한 외침이 터져 나왔습니다. A 씨는 B 군을 안고 병원 응급실로 향하던 중, 순찰차를 발견하고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달려온 것이었습니다. 아이는 열경련으로 의식을 잃은 상태였습니다.
골든타임 사수, 경찰의 신속한 대처
A 씨의 말을 들은 김 경위와 김 경사는 즉시 모자를 순찰차 뒷좌석에 태우고 인근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분초를 다투는 급박한 상황에서, 경찰관들은 사이렌을 울리고 마이크로 방송 안내를 하며 전속력으로 도로를 내달렸습니다. A 씨는 주행 내내 B 군의 이마에 입바람을 불어넣으며 아이의 안위를 걱정했습니다. 빽빽한 차량 틈을 비집고 차선을 변경하며, 경찰차는 병원을 향해 질주했습니다.
시민들의 협조와 경찰의 헌신, 기적을 만들다
평소 정체가 심한 구간이었지만,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 덕분에 순찰차는 2km 거리를 2분 만에 주파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평소 8분가량 소요되는 거리보다 훨씬 빠른 속도였습니다.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은 B 군은 건강을 회복하고 무사히 퇴원했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는 시민들의 배려와 경찰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감사의 마음, 그리고 훈훈한 이야기
A 씨는 “너무 다급하고 눈물이 나서 어찌할 바를 모르던 때에 순찰차가 지나가 급하게 도움을 요청했다”며 당시의 절박했던 심정을 밝혔습니다. 또한 “아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병원으로 데려다주신 경찰관분들께 정말 감사드린다”며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이 훈훈한 이야기는 경찰의 긍정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동시에, 우리 사회의 따뜻한 연대 의식을 느끼게 합니다.
경찰, 시민과 함께하는 '나는 경찰' 프로젝트
경기남부경찰청은 경찰의 활동을 알리고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현장 사례를 콘텐츠로 제작하여 공유하는 '나는 경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연은 긴급출동 상황에서 길을 터준 운전자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알리기 위한 차원에서 열두 번째 사례로 선정되었으며, 관련 영상은 유튜브에 게시되었습니다.
위기의 순간, 빛나는 경찰의 용기와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
이번 사건은 위급한 상황에서 경찰의 신속한 판단과 대처,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감동적인 사례입니다. 생명을 구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경찰의 헌신과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은 우리 사회를 더욱 긍정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경찰이 어떻게 위급한 상황을 인지했나요?
A.순찰 중이던 경찰관들은 비상등을 켠 채 주행하는 SUV 차량에서 들려오는 비명을 듣고 위급한 상황임을 인지했습니다.
Q.경찰의 빠른 대처가 왜 중요했나요?
A.B 군은 열경련으로 의식을 잃은 상태였고,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Q.시민들의 협조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나요?
A.차량들이 순찰차의 길을 터주어, 응급 환자를 태운 경찰차가 병원까지 빠르게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용 장남, 미국 시민권 포기 후 해군 장교 입대…'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 (0) | 2025.09.10 |
---|---|
심우정 전 총장 딸, 국립외교원 채용 특혜 의혹: 노동부 조사 결과와 향후 과제 (0) | 2025.09.10 |
VIB족을 사로잡는 프리미엄 아동복: MZ 부모의 소비 트렌드 분석 (1) | 2025.09.10 |
백악관, 외국 기업 비자 문제 해결 위해 '국토안보부·상무부' 공동 대응: 한국인 근로자 사태 재발 방지 (0) | 2025.09.10 |
임대사업자 이탈, 월세 폭등 경고! 집값 상승의 시그널인가? (1)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