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륜진사갈비, 가맹점주 울리는 '물대 상환'의 덫
지난해 4월 명륜진사갈비 점포를 낸 A씨는 창업 비용 약 4억원 중 1억5000만원을 가맹본부 명륜당의 관계사인 대부업체에서 빌렸다.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로 모자라는 창업 비용을 빌려주겠다는 명륜당 영업사원의 설명에 점포를 낼 상가 계약까지 마치고 만난 대부업체는 연 15% 금리가 적힌 계약서를 내밀었다. A씨 부인을 연대보증인으로 세우라고도 했다.
고금리 대출의 굴레: A씨의 절박한 선택
다른 선택지가 없던 A씨는 대출 계약서에 서명했다. 18일 한국경제신문이 확보한 대출 계약서에 따르면 명륜당이 관계사를 통해 주선한 대출의 상환 구조는 남달랐다. 무한리필 돼지갈비 프랜차이즈인 명륜진사갈비를 운영할 때 꼭 필요한 돼지갈비를 납품받으려면 원금과 이자도 같이 상환해야 했다.
돼지갈비 납품과 빚 상환의 묘한 연결
예를 들어 한 상자 납품가가 12만원인 돼지갈비를 주문하려면 4만원을 추가 결제해 원리금을 갚는 구조다. 일명 ‘물대(물품 대금) 상환’ 방식이다. 명륜당은 가맹점주들이 돼지갈비를 주문할 때마다 함께 상환한 대출 원리금을 예수금 항목으로 갖고 있다가 예수반환 처리를 해 대부업체에 넘겨주고 있다.
명륜당, 대부업법 위반 논란의 중심에 서다
가맹본사인 명륜당이 채권 회수 역할을 담당하며 관계사인 대부업체들과 함께 대부업 비즈니스의 한 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명륜당의 이런 사업 구조가 대부업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본다. 명륜당이 프랜차이즈사업에 꼭 필요한 재료를 주문할 때 빚을 강제로 갚게 하는 구조까지 짜놓은 건 가맹본사 자체가 등록 없이 대부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산업은행 자금 활용, 대부업 비즈니스 확장?
명륜당은 강제 빚 상환 창구로 활용하고 있는 돼지갈비를 협력사에서 구입할 땐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서 빌린 자금을 사용했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명륜당은 지난해 말 기준 약 690억원을 산업은행에서 운영·시설 자금 명목으로 빌려 협력사에서 돼지갈비 원육을 매입하는 데 사용했다. 산은에서 연 3~4%대 저리로 빌린 돈을 직간접적으로 대부업 비즈니스를 구축하는 데 활용한 것이다.
신용보증기금의 그림자 지원
신용보증기금도 명륜당의 사업을 뒤에서 도운 것으로 드러났다. 신보는 명륜당이 시중은행에서 2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때 보증을 서줬다. 명륜당 관계자는 “가맹점에 자금을 직접 대여한 주체는 합법적 절차에 따라 등록한 대부업등록법인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명륜진사갈비 사태, 가맹점주의 눈물과 그림자 금융의 불편한 진실
명륜진사갈비 가맹점주들이 겪는 '물대 상환' 방식의 고금리 대출 논란은 프랜차이즈 시장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준다. 가맹본부와 대부업체의 유착 의혹, 산업은행 자금의 부적절한 활용, 신용보증기금의 보증 등 복잡하게 얽힌 문제는 가맹점주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킨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명륜진사갈비의 '물대 상환' 방식은 무엇인가요?
A.가맹점주가 돼지갈비를 납품받을 때 대출 원리금을 함께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돼지갈비 주문 시 추가 결제를 통해 빚을 갚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Q.명륜당은 왜 대부업법 위반 논란에 휩싸였나요?
A.프랜차이즈 사업에 필요한 재료 구매와 빚 상환을 연계하여, 등록 없이 대부업을 영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Q.신용보증기금은 명륜진사갈비 사태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A.신용보증기금은 명륜당이 시중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보증을 제공하여, 간접적으로 명륜진사갈비의 사업 확장을 지원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장 의혹과 민주당의 입장 변화: 서영교 의원과 부승찬 의원의 발언 분석 (0) | 2025.09.19 |
---|---|
트럼프, 푸틴에 '실망' 선언! 미-영, 470조 경제 협력으로 '기술 혁명' 이끈다 (0) | 2025.09.19 |
롯데카드 해킹 과징금, SKT와 왜 이렇게 다를까? 최대 800억 가능성! (0) | 2025.09.19 |
결혼, 축복은 아름답지만… '청첩장 모임' 비용, 부담일까 예의일까? (0) | 2025.09.19 |
4년 연임 개헌 논란: 김민석 총리, 이재명 대통령 재출마 가능성에 '선 긋다'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