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지 파운드리, 삼성의 전략적 가치 급상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100%’를 언급하면서 삼성전자의 미국 현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의 전략적 가치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현지에서 2나노(㎚) 이하급 최선단 공정 파운드리를 시작하는 반면, 파운드리 세계 1위인 대만 TSMC는 아직 미국에서 2나노 이하 공정 적용 여부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신규 공장 가동 시점도 2028년 이후입니다.
TSMC와 삼성의 미국 내 파운드리 경쟁 구도
TSMC는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에 제1반도체 공장을 가동 중이며, 이 공장에는 4나노 공정을 적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공장은 2028년, 3공장은 2030년에 각각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데 이 역시 확정적이진 않습니다. TSMC는 최선단 공정인 2나노 이하급을 미국에 적용할 지 여부에 대해서도 명확한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반대로 삼성전자는 내년 준공을 예고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 4나노 이하 공정을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테슬라와 애플, 삼성 파운드리 선택 배경
최근 테슬라, 애플이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를 삼성전자에 맡기겠다고 한 배경에는 트럼프의 관세 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테슬라가 기존에 거래하던 TSMC 대신 삼성을 선택한 점 등이 그 이유로 꼽힙니다. 삼성이 테슬라와 계약한 수주 규모는 무려 165억4416만달러(한화 약 23조원)에 이르며, 이는 최소한이라는 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설명입니다. 애플에 대해서는 계약 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차세대 아이폰 등에 들어가는 이미지 센서(CIS)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성 파운드리, 트럼프 관세 정책 속 생존 전략
현재 복수의 트럼프 정부 관계자들은 미국의 반도체 100% 관세가 현지에 투자한 기업에는 해당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을 내놓고 있지만, 최종 결정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말하지 않는 한 이를 보장하긴 어렵습니다. 이를 고려했을 때 내년부터 2나노 공정 양산이 가능한 삼성전자의 테일러 공장이 이르면 2028년에나 현지 생산이 가능한 TSMC의 2공장보다 전략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삼성 파운드리, 빅테크 고객 확보 기대
여기에 미국 빅테크 업체들이 지나치게 높은 TSMC의 의존도를 낮출 수도 있다는 점에서 삼성의 미국 현지 파운드리의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에 대해 “북미 빅테크로의 고객 기반 다변화, 미 현지 투자 확대 계기로 트럼프 관세 정책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들을 잠재적 고객사로 보고 있습니다.
삼성 파운드리, 적자 탈피 시점 앞당길까
이 경우 고대역폭메모리(HBM)와 함께 실적 반등의 한 축이었던 파운드리 적자 탈피 시점도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란 기대가 나옵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시스템LSI 부문에서 2023년 2조5000억원, 작년 5조3000억원, 올 상반기 5조원가량의 영업적자를 냈습니다.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실적 개선을 위한 걸림돌 중 하나였던 삼성 파운드리 사업부도 테슬라향 신규 수주를 통해 전환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며 “실적 기여는 2026년말~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겠지만, 테슬라 수주가 추가 수주로 이어지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삼성 파운드리, 트럼프 관세 리스크 속 경쟁력 강화… 테슬라·애플 등 빅테크 수주로 미래 밝혀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부과 가능성 속에서 삼성전자의 미국 현지 파운드리 가치가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테슬라,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의 수주를 통해 삼성은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2나노 공정 도입을 통해 TSMC와의 격차를 벌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세 리스크를 극복하고 실적 개선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삼성 파운드리가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인해 미국 내 생산 기지를 확보한 삼성전자의 전략적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TSMC보다 앞선 2나노 공정 도입과 테슬라,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의 수주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Q.테슬라와 애플이 삼성 파운드리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트럼프 관세 부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미국 내 생산 기지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가 TSMC보다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고, 2나노 공정 도입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점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Q.삼성 파운드리의 미래 전망은 어떠한가요?
A.빅테크 기업들의 수주 확대, 2나노 공정 도입, 미국 현지 투자 확대를 통해 긍정적인 전망을 보입니다. 다만,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파운드리 사업부의 적자 지속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용현 측, 구속영장 발부 불법 주장…구속 취소 신청으로 맞대응 (1) | 2025.08.11 |
---|---|
김태희, 할리우드 데뷔! 서울대 출신 그녀의 빛나는 활약과 유창한 영어 실력 (5) | 2025.08.11 |
아파트 엘리베이터, '갑질' 논란? 택배 안내문, 갈등의 불씨를 잠재울 해법은? (2) | 2025.08.11 |
불출석, 강제 구인, 궐석 재판…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재판, 어디로 향할까? (5) | 2025.08.11 |
1.5m 얼음도 '와르르'… 대한민국, 차세대 쇄빙선으로 북극을 정복하다 (3)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