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2030년 '역대급 확장' 예고
국제축구연맹(FIFA)이 2030년 월드컵을 사상 최초로 64개국이 참가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논의한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32개국 체제로 확대된 이후, 2026년 북중미 월드컵에서 48개국이 본선에 오른다. FIFA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2030년 대회를 '역대급 확장판'으로 치르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 2030 월드컵 본선 진출 '청신호'?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지난 4월 남미축구연맹(CONMEBOL) 회장 알레한드로 도밍게스가 FIFA에 2030 월드컵을 64개국으로 확대하자는 제안을 제출했고, 현지시간 이번 주 화요일에 FIFA가 공식 논의에 착수했다. 중국 대표팀의 2030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 희소식"이라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도밍게스 회장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우루과이가 각각 조별리그 한 조씩을 개최하는 방안까지 함께 제안했으며, FIFA는 이 안건을 테이블에 올려 정식 논의를 시작했다.
아시아, 티켓 증가 기대…중국 축구에겐 '기회'
현재 아시아는 2026년 대회에서 8.5장의 본선 티켓을 배정받았다. 만약 64개국 체제로 대폭 확대된다면 아시아 출전권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소후닷컴'은 "중국 남자축구는 현재 FIFA 세계랭킹 94위, 아시아 랭킹 14위지만, 확대 개편으로 본선행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물론 아직 현실은 냉정하다.
FIFA 회동, 64개국 확대안 논의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미국 뉴욕에서 도밍게스 회장, 남미 3개국 정상들과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2030년 대회를 64개국 규모로 확대하는 문제를 공식적으로 협의했으며, 이는 지난 3월 우루과이의 야마두 오르시 대통령이 처음 제안했던 안건을 한 단계 진전시킨 회의였다.
확대안, 긍정적 측면과 우려의 시선
도밍게스 회장은 회의 후 "우리는 역사적인 2030 월드컵을 믿는다.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제의 100주년을 향한 여정에 함께해 주셔서 감사하다. 단결, 창의성, 믿음을 통해 모두가 축구로 하나 되는 진정한 세계 축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SPN'은 "만약 확대안이 통과된다면 지금까지 64경기로 치러지던 월드컵은 무려 128경기로 늘어나게 된다"고 짚었다.
경기 수준 저하 우려와 반발
경기 수가 두 배로 늘어나는 만큼 선수 혹사, 대회 운영 난항, 그리고 무엇보다 경기 수준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UEFA(유럽축구연맹) 알렉산더 체페린 회장은 64개국 개최안에 "나쁜 아이디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본선 참가국이 지나치게 늘어나면 월드컵 예선의 의미가 퇴색되고, 본선 경기 질적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FIFA의 명분과 중국 축구의 현실
FIFA는 '전 세계 축제'라는 명분을 앞세우고 있다. 월드컵은 단순히 최고 수준의 경기력만을 보여주는 무대가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축구 문화와 팬층을 포용하는 글로벌 이벤트라는 점에서 확대안은 충분한 설득력을 지닌다. 무엇보다 FIFA 입장에서는 경기 수와 참가국이 늘어날수록 중계권료, 스폰서십, 티켓 판매 등에서 막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중국 축구 입장에서는 이 논의가 단순한 '확대안'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2030 월드컵, 역사상 가장 독특한 대회
2030년 월드컵은 이미 개최 방식부터 역사상 가장 독특한 대회로 기록될 예정이다. 여기에 본선 참가국까지 64개국으로 늘어난다면, 대회는 명실상부한 '지구촌 최대 스포츠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러나 경기력 저하라는 부작용도 피할 수 없는 만큼, FIFA의 최종 결정은 축구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2030 월드컵, 64개국 체제 논의… 중국 축구의 미래는?
FIFA가 2030년 월드컵을 64개국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면서, FIFA 랭킹 94위의 중국 축구에 기회가 열릴지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경기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며, FIFA의 최종 결정에 귀추가 주목된다.
자주 묻는 질문
Q.2030 월드컵 64개국 체제, 왜 논의되는 건가요?
A.FIFA는 월드컵 100주년을 기념하고, 더 많은 국가에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수익 증대를 목표로 64개국 체제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Q.중국 축구, 64개국 체제에서 본선 진출 가능성은?
A.FIFA 랭킹 94위인 중국은 본선 진출 티켓 증가로 인해 기회를 얻을 수 있지만, 경기력 향상이 필요합니다.
Q.64개국 체제, 문제점은 없나요?
A.경기 수 증가로 인한 선수 혹사, 경기 수준 저하, 대회 운영의 어려움 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시, 뉴욕 제압하고 MLS 득점왕 경쟁 '승리'! 부앙가와의 치열한 경쟁, 그 결말은? (0) | 2025.09.25 |
---|---|
이정후, 행운과 불운 사이에서 빛나는 2루타: NL 13위 등극과 아쉬운 타점 (1) | 2025.09.25 |
양궁 국가대표, SNS 논란 휩싸이다: 안산·임시현, 무엇이 문제였나? (0) | 2025.09.25 |
손흥민, MLS를 뒤흔들다: 메시를 넘어선 LAFC의 새로운 슈퍼스타 (0) | 2025.09.25 |
손흥민 없는 노팅엄,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악몽' 시작? BBC도 경악한 무승 행진...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