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차니즘이 부르는 건강 적신호
귀찮다는 이유로 전기밥솥 내솥에서 직접 쌀을 씻는 이들이 적지 않다. 씻은 쌀을 옮길 필요 없이 그대로 밥을 지을 수 있어 편리하지만, 이 사소한 습관이 신장 기능 손상은 물론 치매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내솥, 당신의 건강을 위협하는 복병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최근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서 "(내솥에서 쌀을 씻으면 코팅이 긁혀 벗겨지는데) 알루미늄 소재를 코팅한 내솥의 경우, 코팅이 벗겨지면 알루미늄이 노출된다"며 "그 상태에서 밥을 하면 알루미늄 조각이 용출돼 밥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알루미늄의 위험한 그림자
그는 "알루미늄은 섭취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은 신장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에서 돌다가 서서히 축적되게 된다"며 "특히 뇌에 축적될 경우에는 치매와도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정부에서도 알루미늄 섭취를 막기 위해 알루미늄 용기에 산도 높은 음식을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솥, 쌀과의 위험한 만남
실제로 전기밥솥 내솥은 밥알이 달라붙지 않도록 불소수지(테플론) 등으로 코팅하는 경우가 많아, 내솥에서 쌀을 씻을 경우 쌀알이 표면을 긁어 코팅이 손상되기 쉽다. 이 과정에서 노출된 금속 성분이 고온의 밥 짓기 환경 속에서 음식으로 스며들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스테인리스도 안심할 수 없다?
강 교수는 "스테인리스 제품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전한 밥상을 위한 작은 실천
그러면서 "잔여물이 남은 상태에서 건조하면 스테인리스가 빨리 부식된다"라며 "잘 세척해서 건조 후 사용하고 붉은색이 보이면 미련 없이 교체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했다. 아울러 "세척 시에는 철 수세미보다 스펀지나 극세사 망사를 사용하고, 밥을 풀 때는 금속 숟가락 대신 전용 주걱을 쓰는 것이 좋다"며 "잔여물이 남은 채로 건조하면 부식이 빨리 진행되므로 사용 후 완전 건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건강한 밥상을 위한 핵심 정리
전기밥솥 내솥에서 쌀을 씻는 것은 코팅 손상을 유발하여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노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신장 기능 저하, 치매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내솥도 부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안전한 밥을 위해서는 전용 주걱 사용, 완전 건조, 주기적인 내솥 교체가 필수적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속 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Q.내솥 코팅이 벗겨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육안으로 코팅이 벗겨진 부분이 보이거나, 밥에 이물질이 섞여 나온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내솥의 색깔이 변하거나 붉은 녹이 슬어 있는 경우에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Q.스테인리스 내솥은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 하나요?
A.스테인리스 내솥의 경우, 붉은 녹이 슬거나 부식이 심하게 진행되었다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2년 주기로 점검하여 상태에 따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Q.내솥을 오래 사용하는 팁이 있을까요?
A.쌀을 씻을 때는 내솥이 아닌 다른 용기를 사용하고, 부드러운 수세미로 세척하며, 밥을 푼 후에는 잔여물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완전히 건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금속 숟가락 대신 나무나 플라스틱 주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8, 그들이 돌아오지 않았다: 여순사건, 잊혀진 병사들의 진실을 찾아서 (0) | 2025.10.21 |
---|---|
셀트리온, 합병 시너지 효과! 3분기 매출·영업이익 '역대 최대' 달성! (0) | 2025.10.21 |
홈플러스, 벼랑 끝에서 길을 찾을 수 있을까? M&A 기술자들의 숨겨진 이야기 (0) | 2025.10.21 |
특검, '임성근 봤다' 복수 진술 확보…구명 로비 의혹 규명에 속도 (0) | 2025.10.21 |
비극의 현장실습: 한농대, 10년간 52명의 죽음과 부상… 안전은 어디에? (0) | 202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