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월 300만원 벌던 구두 수선공, 사라져가는 현실 앞에서 눈물을 삼키다

핑크어흥 2025. 9. 3. 20:16
반응형

40년 외길 인생, 구두 수선공의 씁쓸한 현실

서울 중구 시청역 인근에서 40년 넘게 구두를 수선해 온 조모(75)씨는 점심시간에도 손님이 없어 썰렁한 구둣방을 지킨다80년대 월 300만원 이상 벌었던 시절은 옛말, 요즘은 종일 1만원도 못 벌거나 아예 수입이 없는 날이 허다하다7~8월 매출액 평균이 45만원으로, 재료비와 전기세를 제하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조씨는 달력에 적힌 7월 매출 기록을 보며, 0원인 날이 8일에 달했다는 사실에 씁쓸함을 감추지 못한다. 그는 이 직업이 영원할 줄 알았지만, 현실은 큰 착각이었다고 토로하며, 다른 일을 배울 수 없는 나이에 버티는 것이 유일한 선택이라고 말한다.

 

 

 

 

거리의 구두 수선소, 빠르게 사라지다

구두 수선소는 서울시에서 2016년 1117개소에서 2024년 725개소로 9년 새 35.1%나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8개소가 문을 닫았고, 앞으로 자치구별 시설물 조사를 통해 추가 철거가 진행될 예정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구두장이가 포함된 전국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수도 2017년 상반기 239만2000명에서 2024년 하반기 228만명으로 11만2000명(4.7%)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세는 구두 수선업계의 고령화와 더불어, 젊은 세대의 외면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패스트 패션과 운동화의 인기, 구두의 입지를 좁히다

정장에 운동화 차림이 일상화되고, 싸게 사고 쉽게 버리는 패스트 패션 문화가 확산되면서 구두의 인기는 시들해지고 있다. 숙명여대 연구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성들조차 구두보다 운동화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평균 3~4켤레의 운동화를 소유하는 반면, 구두는 1~2켤레에 불과했다. 신발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착화감으로, 편안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고령화된 수선공과 접근성 저하, 소비자 외면 심화

구두 수선소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평균 연령은 2016년 62세에서 올해 69세로 높아졌다. 날씨나 건강 문제로 인해 가게 문을 닫거나 영업시간을 줄이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은 구두 수선 서비스를 이용하기 더욱 어려워졌다. 직장인 김모씨는 회사 근처 구둣방이 사라지고, 집 근처 구둣방은 퇴근 후 문을 닫아 헛걸음한 경험을 이야기하며, 이러한 불편함이 값싼 구두나 운동화를 선호하게 되는 요인이라고 말한다.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온라인 수선과 셀프 수선

시간과 비용을 더 들여서라도 온라인 구두 수선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전화나 인터넷으로 접수하면 구두를 수거해 수선 후 배송해주는 시스템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구두 굽이나 밑창 보강은 셀프 수선 키트를 통해 직접 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교수는 젊은 세대가 격식보다는 편의를 중시하고 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두의 인기가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두 수선 기술의 미래와 보존의 필요성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의식주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좋은 구두를 만들고 수선하는 기술을 어떻게 보존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구두 수선 기술이 예전만큼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조씨는 아쉬움을 느끼지만, 손님들이 편히 쉬어갈 수 있는 공간, 사랑방 역할을 하는 것에 만족하며,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다.

 

 

 

 

구두 수선공의 씁쓸한 현실: 사라져가는 기술과 변화하는 시대

40년 넘게 구두를 수선해 온 장인의 이야기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사라져가는 직업의 현실을 보여준다. 구두 수선소 감소, 패스트 패션의 유행, 젊은 세대의 외면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구두 수선 기술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기술 보존과 시대의 흐름 속에서 균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구두 수선과 관련된 궁금증 Q&A

Q.구두 수선소는 왜 점점 줄어들고 있나요?

A.패스트 패션의 유행, 운동화 선호, 구두 수선업 종사자 고령화, 접근성 저하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구두 수선소는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Q.구두 수선 기술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A.구두 수선 기술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위기를 맞고 있지만, 기술 보존과 새로운 시도를 통해 그 가치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온라인 수선 서비스, 셀프 수선 키트 등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Q.구두 수선 기술을 보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A.구두 수선 기술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장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시대의 흐름에 맞춰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구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소비자들이 구두를 아끼고 관리하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