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게임주 포트폴리오 조정: 시프트업 비중 축소
국민연금공단이 게임주 시프트업의 지분율을 5%대로 낮췄습니다. 국민연금은 올해 엔씨소프트, 넷마블, 더블유게임즈 등 게임주를 쓸어담았으나, 시프트업은 두 차례에 걸쳐 매각했습니다.
시프트업 주가 하락과 국민연금의 매도 결정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올해 6월12일, 7월28일 각각 60만3367주(1.02%), 60만4236주(1.02%)의 시프트업 주식을 매도했습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8월과 11월 시프트업 주식 417만9713주를 사들이며 지분율을 7.17%까지 끌어올렸으나 올해는 두 차례에 걸쳐 지분을 매도하면서 지분율을 5.06%까지 낮췄습니다.
시프트업의 성장 모멘텀 부재와 주가 하락
시프트업의 대표 캐시카우인 '승리의 여신: 니케'가 중국에 론칭되고, '스텔라 블레이드'의 PC 버전이 스팀에 출시된 후다. 스텔라 블레이드는 흥행했지만 니케의 중국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신작을 비롯한 성장 모멘텀이 부족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매입가 하회하는 매도 가격
국민연금이 지난해 시프트업 지분을 처음으로 매입했던 8월 주가는 6만~7만원을 오갔으며, 추가로 매수했을 때 주가는 종가 기준 5만6000원이었다. 그러나 올해 6월과 7월 시프트업 주식을 매각한 가격은 각각 5만2700원, 4만1950원으로 매입가를 밑돌았습니다.
성장 가능성에 주목: 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확대
국민연금은 올해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넷마블, 더블유게임즈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했습니다. 올해 3월 크래프톤의 지분 25만1419주(0.58%)를 매입해 총 7.1%의 지분을 보유했고, 4월에는 더블유게임즈 주식 21만7428주(1.01%)를 매입하면서 지분율을 7.96%까지 늘렸습니다. 6월에는 엔씨소프트 주식 19만1727주(1.03%)와 넷마블의 주식 86만56주(1%)를 매입하면서 지분율을 각각 8.34%, 6.15%로 확대했습니다.
국민연금의 투자 철학: 안정성과 수익성 추구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은 안정적이면서 수익을 최대화하는 운용지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올해 게임주 투자를 늘린 건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넷마블,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더블유게임즈의 성장 동력
넷마블은 자체 지식재산권(IP)을 바탕으로 만든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세나 리버스', '뱀피르' 등이 연이어 흥행한 데다 내년 신작을 줄줄이 출시할 예정입니다. 엔씨소프트는 포커스그룹테스트(FGT) 등에서 호평받은 '아이온2' 출시를 앞두고 있고, 크래프톤은 '서브노티카2'와 '팰월드모바일'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더블유게임즈의 경우 주력 사업인 소셜카지노 외 신사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 중입니다. 슈퍼네이션 인수 후 아이게이밍(iGaming)의 매출이 증가했으며, 팍시게임즈를 인수하는 등 캐주얼게임 라인업을 늘렸습니다.
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미래를 엿보다
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은 성장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시프트업의 주가 하락과 성장 모멘텀 부재로 인해 매도 결정을 내린 반면, 넷마블,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더블유게임즈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안정적인 수익과 함께 미래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 전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국민연금이 시프트업 주식을 매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시프트업의 '승리의 여신: 니케'의 중국 시장 성과 부진, '스텔라 블레이드'의 성장 모멘텀 부족으로 인한 주가 하락이 주요 원인입니다.
Q.국민연금이 새롭게 투자한 게임주는 무엇인가요?
A.넷마블,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더블유게임즈입니다.
Q.국민연금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A.성장 잠재력, 기업의 재무 건전성, 신작 출시 계획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한국 온다! 한미 정상회담과 APEC, 대한민국에 쏟아지는 기대 (0) | 2025.10.16 |
---|---|
한동훈, '中 닮은 토허제' 비판: 집값 폭등과 국민 고통 심화 우려 (0) | 2025.10.16 |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대법원 파기환송…1조 3천억 재산 분할 '재검토' (0) | 2025.10.16 |
규제 폭탄에 멈칫, 마포·성동구 부동산 시장 '관망세' 돌입... 숨 고르기 장세 진입? (0) | 2025.10.16 |
내 집 마련, 지금이 마지막 기회? 2024년 주택담보대출, 더욱 험난해질 전망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