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90년대 유령 마을로 변한 설악동, 264억 재건 사업에도 활력 잃은 이유

핑크어흥 2025. 8. 18. 10:15
반응형

희망을 잃은 설악동, 90년대 유령 마을로 변모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C지구가 폐업한 상점들로 인해 유령마을처럼 변했습니다매년 300만 명이 방문하는 설악산국립공원의 대표 관문이라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85세의 김종모 씨는 문 닫은 자신의 가게를 가리키며 이곳이 희망이 없는 동네라고 말합니다. 10년 전 가게를 폐업했다는 김 씨의 말처럼, 수학여행이 끝난 뒤로 가게들이 문을 닫기 시작해 대부분이 폐업에 들어간 상태라고 합니다. 출렁다리 등 활성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효과는 미미했습니다.

 

 

 

 

번영의 시대를 지나 쇠락의 길을 걷다

설악동은 한때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지구이자 수학여행지였습니다.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은 요세미티 국립공원에 감명받아 설악산을 세계적인 국립공원으로 발전시킬 것을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설악산 입구의 상가와 숙박시설을 설악동 B·C지구로 강제 이주시키는 등 집단시설지구를 조성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수학여행단을 비롯한 단체 관광객이 대거 유입되면서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264억 투입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효과

90년대 들어 국내 여행 패턴이 바뀌고 해외여행이 보편화되면서 설악동은 급속도로 쇠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재작년부터 강원 속초시는 ‘설악동 재건사업’으로 26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설악향기로(스카이워크·출렁다리)와 벽화길 등을 조성했습니다. 하지만 방문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활성화 효과가 미미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스카이워크는 평소 주민들의 산책로로 사용될 뿐 지역 상권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습니다.

 

 

 

 

교통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현지에서는 설악동이 황폐해진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교통 체계를 꼽았습니다. 설악산 소공원 입구에 신흥사가 운영하는 대형 주차장이 있다 보니 수많은 방문객이 설악동을 '패싱'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주말이나 관광 성수기에는 주차장에 진입하기 위해 한 시간 이상 대기하는 차량 행렬을 볼 수 있습니다. 조우 상지대 조경산림학과 교수는 설악산 백담사처럼 설악동에서 소공원 구간의 자가용, 관광버스 통행을 셔틀 교통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신흥사를 설득해 주차장을 없애고, 주차장 수익금을 보전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활성화 방안 모색

이재명 대통령 역시 후보 시절 설악산 B·C 지구와 소공원을 연결하는 트램을 설치해 성수기 차량 정체를 해소하고 설악동 B·C 지구를 활성화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교통 체계만 바꾼다고 해서 설악동이 되살아날지는 미지수입니다.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은 설악동이 단체 관광 시대에 최적화되어 번영을 누렸지만, 그 성공 공식이 오히려 변화의 족쇄가 되어 장기 침체를 겪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립공원 탐방 트렌드에 맞는 지속 가능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설악동 쇠락의 원인과 미래를 위한 과제

설악산국립공원 관문인 설악동이 90년대 유령 마을처럼 변했습니다. 264억 원의 재건 사업에도 불구하고, 교통 체계의 문제와 여행 트렌드 변화로 인해 활력을 잃었습니다.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통 체계 개선과 함께 국립공원 탐방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합니다.

 

 

 

 

설악동 관련 궁금증 Q&A

Q.설악동이 쇠퇴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A.교통 체계의 문제와 여행 트렌드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소공원 입구의 대형 주차장으로 인해 방문객들이 설악동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설악산으로 향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또한, 단체 관광에서 개별 여행으로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Q.설악동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가요?

A.설악산 백담사처럼 셔틀 교통 체계 도입을 통해 설악동에서 소공원 구간의 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또한, 국립공원 탐방 트렌드에 맞는 지속 가능한 활성화 방안 마련도 중요합니다.

 

Q.설악동 재건 사업의 효과는 어떠했나요?

A.26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스카이워크, 출렁다리 등을 조성했지만, 주민들은 활성화 효과가 미미하다고 평가합니다. 스카이워크는 주로 주민들의 산책로로 사용될 뿐, 지역 상권 활성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