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소란 일으켜
지난 8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한국사 강사 출신 보수 유튜버 전한길씨가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가 연설하는 동안 객석에서 일어나 “배신자”를 외치며 당원들의 동참을 유도했다. 이 사건은 당내에서 전한길씨를 출당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 전한길 출당 촉구
김근식 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는 11일 에스비에스(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 인터뷰에서 “이참에 (전씨를) 출당조치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의 공식적 차원에서 계엄 옹호 세력과는 확실하게 선을 긋는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윤 어게인’을 주장하는 전씨와의 절연을 통해 당 쇄신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의 대응과 징계 절차 착수
국민의힘은 전씨의 전당대회장 출입을 금지시키는 한편 징계 절차에도 착수한 상태다. 이러한 조치는 전씨의 행위가 당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은 내부 규율을 강화하고, 극우적 성향의 인물과의 관계를 정리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김근식 후보, '배신자' 낙인에 대한 비판
김 후보는 ‘배신자’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행태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배신자라는 단어를 쓰는 게 먹히는 것 자체가 참담한 상황이다. 배신자라는 말을 가장 많이 쓰는 조직이 조폭 양아치들”이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배신자라며 정치 공방을 벌이는 것 자체가 전근대적이고 비상식적”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전씨의 행위가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한다고 보는 시각을 반영한다.
김대식 의원, 전한길 출당 조치 필요성 언급
같은 당 김대식 의원 역시 와이티엔(YTN) 라디오 ‘뉴스파이팅 김영수입니다’에 출연하여 전씨를 비판하며, “당에 해를 끼치고 앞으로 우리 당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하면 이것은 징계뿐만 아니라 출당 조치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의 발언은 전씨의 행위가 당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낸다.
전한길 사태, 당내 갈등 심화
이번 사건은 국민의힘 내의 다양한 의견 충돌을 보여주는 사례로, 당내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한길씨의 행위를 둘러싼 논쟁은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의 일면을 보여준다. 앞으로 당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그리고 당내 통합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주목된다.
핵심 정리: 전한길 출당 요구와 국민의힘 내 갈등
국민의힘 내에서 전한길씨의 출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당내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근식 후보와 김대식 의원을 비롯한 당내 인사들은 전씨의 행위를 비판하며, 당의 쇄신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 강경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당의 정체성과 미래 방향성을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자주 묻는 질문
Q.전한길씨는 왜 논란의 중심에 섰나요?
A.전한길씨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배신자'를 외치며 소란을 일으켰고, 이는 당내에서 출당 요구를 불러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Q.국민의힘은 이 사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A.국민의힘은 전한길씨의 전당대회장 출입을 금지하고 징계 절차에 착수했습니다. 또한, 당내 인사들은 전씨의 행위를 비판하며 출당 조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Q.이번 사태가 국민의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이번 사태는 당내 갈등을 심화시키고, 당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시 공무원의 추악한 민낯: 미성년자 성폭행 9차례, 나이 속여 접근 (4) | 2025.08.11 |
---|---|
이재명 경고 현실화? 건설 안전사고, 주식·채권 시장 '흔들' (2) | 2025.08.11 |
정청래, 국민의힘 '계엄 괜찮다' 발언에 일침: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 행태 비판 (4) | 2025.08.11 |
아파트 산책 중 날벼락, 유리병 투척 사건의 전말과 예방책 (5) | 2025.08.11 |
매일 먹는 마늘, 세계가 주목하다: 암·혈압·당뇨, 건강을 한 번에! (2)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