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식품업계 '세대 역전' 현실화: 20대는 줄고 50대는 늘어나는 이유는?

핑크어흥 2025. 8. 10. 11:30
반응형

식품업계, 세대교체의 갈림길에 서다

국내 주요 식품 기업 10곳에서 50대 이상 고령층 인력이 20대 청년층을 앞지르는 '세대 역전'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규 채용에서도 50대가 20대를 넘어서는 사례가 등장했으며, 전체 임직원 구성에서도 고령층 비중이 청년층을 추월하는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이는 식품 업계의 인력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20대, 식품업계를 떠나다

20대 청년층의 감소는 단순히 인구 감소의 문제가 아닙니다. 20대 인력 감소의 이면에는 '이탈' 문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낮은 연봉, 경직된 조직문화, 단순 반복 업무, 교대근무 등으로 인해 입사 1~2년 안에 회사를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워라밸'과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는 이들 젠지세대의 특성과 업무 방식이 부합하지 않아서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업계가 젊은 인재들을 붙잡아두기 위해 더욱 매력적인 근무 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50대, 식품업계의 새로운 주역으로

반면, 50대 이상 고령 인력의 증가는 식품업계의 또 다른 변화입니다이들은 숙련된 기술과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직, 기술직, 판촉직 등에서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 고령 인력을 재고용하거나 반복 채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들의 경험과 숙련도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채용 시장의 변화: 롯데칠성의 사례

채용 단계부터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롯데칠성은 50대 이상 채용 비중이 2022년 10.5%에서 지난해 24.4%로 2배 넘게 뛰었습니다. 반면 20대 채용 비중은 36.8%에서 25.1%로 11.7% 포인트나 떨어졌습니다. 이는 롯데알미늄 AS사업부를 인수하며 50대 기술직 50여 명을 편입한 영향도 있지만, 식품업계 전반의 고령 인력 선호 현상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입니다.

 

 

 

 

세대 균형을 유지하는 기업도 존재한다

모든 기업이 동일한 흐름을 따르는 것은 아닙니다. 오리온과 동원산업과 같이 20대와 50대 이상 인력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오리온은 지난해 신규 채용에서 63.3%가 20대였고, 50대 이상은 3.9%에 그쳤습니다. 동원산업은 두 세대 간 인력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신규 채용에서도 두 세대를 고르게 뽑아 인력 구조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기업의 인력 관리 전략에 따라 세대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고령 인력 활용의 긍정적 측면

식품 기업들이 고령 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데에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 근로자의 생산성이 젊은 층과 비슷하거나 더 월등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무직, 생산직, 판매직, 연구직 등 전 직종에서 고령자의 근로시간 대비, 임금 대비, 작업량 대비 생산성이 젊은 층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나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이는 고령 인력의 숙련도와 경험이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식품업계, 미래를 위한 균형점을 찾아야

식품업계는 현재 세대교체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20대 인력의 이탈과 50대 이상 고령 인력의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젊은 인재를 유치하고, 고령 인력의 숙련된 경험을 활용하는 균형 있는 인력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워라밸,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는 젠지세대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고령 인력의 경험을 적극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식품업계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왜 20대 청년들이 식품 회사를 떠나는 걸까요?

A.낮은 연봉, 경직된 조직문화, 단순 반복 업무, 교대근무 등 워라밸과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는 20대 젠지 세대의 니즈와 맞지 않는 근무 환경이 주요 원인입니다.

 

Q.50대 이상 고령 인력의 증가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A.50대 이상 고령 인력은 숙련된 기술과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기업들은 이들의 경험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Q.식품업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요?

A.20대 인재 유치를 위한 근무 환경 개선과 고령 인력의 숙련된 경험을 활용하는 균형 있는 인력 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