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그램, 대통령 관저 증축 공사 특혜 논란의 중심
지난 8월 13일,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대통령 관저 이전 문제를 주도했던 인테리어 업체 ‘21그램’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1그램의 김태영 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함께 대통령 별장에서 휴가를 보낸 사실이 드러나면서, 특혜 논란이 더욱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휴가 동행을 넘어, 권력과 사적 관계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며 국민적 관심과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윤건영 의원, 김태영 대표에게 동행 경위 질의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3년 여름,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경남 거제시 저도의 대통령 별장 ‘청해대’에서 휴가를 보낼 때 김태영 대표도 동행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윤 의원은 김 대표에게 “누구로부터 연락받았느냐”고 질문하며, 동행 경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김 대표는 유경옥 팀장(대통령실 행정관)에게 연락받았다고 답했습니다.
대통령 전용 기차 탑승 여부 및 동행 인원에 대한 진술
김 대표는 “대통령 전용 기차를 타고 같이 이동했느냐”는 질의에 “아니었던 거로 기억한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김 대표와 부인 조씨, 외부 인사 2~3명이 함께 대통령 별장에 묵었다는 의혹에 대해 김 대표는 “아내는 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인사는) 잘 알고 있지 못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진술들은 당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에 한계를 보이며,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김건희 여사와의 관계 및 특혜 의혹
김태영 대표는 코바나컨텐츠 전시에 후원을 하면서 김건희 여사와 인연을 맺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이후, 21그램은 종합건설업 면허가 없는 실내건축공사업체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관저 증축 공사를 맡아 특혜 논란이 일었습니다. 김 대표는 김 여사와는 “작년 1~2월까지 연락했다”고 밝혔으며, 현재는 연락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사실들은 21그램이 대통령실과의 특별한 관계를 통해 사업적 특혜를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국민적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샤넬 가방 교환 및 웃돈 지불 관련 진술
김 대표의 부인 조씨는 유경옥 전 행정관이 2022년 7월 ‘건진법사’ 전성배씨로부터 전달받은 샤넬 가방을 다른 제품과 교환할 때 동행하여 200만원 웃돈을 결제했습니다. 윤 의원이 “(200만원이) 통일교의 돈인가, 부인의 돈인가”라고 묻자 김 대표는 부인의 돈이라고 답했고, 이후 “돌려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김건희씨가 건진법사로부터 받은 샤넬백을 김 대표가 보관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누가 보관하는지 모른다”고 답했습니다.
이우환 화백 그림 추천 의혹에 대한 반박
김 대표는 ‘김 여사 취향이라며 이우환 화백 그림을 추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거짓된 보도”라며 부인했습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김상민 전 부장검사가 김 여사 오빠에게 건넸다는 1억4000만원 상당의 이우환 그림이 최종적으로 김 여사에게 전달됐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김상민 전 검사 측은 “(김 여사의 취향을) 강씨가 이우환이라고 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핵심만 짚어보는 이번 사건의 전말
21그램 김태영 대표의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의 대통령 별장 동행 사실이 드러나면서, 21그램의 특혜 의혹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대통령 관저 공사 수주 과정에서의 특혜 논란, 김건희 여사와의 관계, 샤넬 가방 관련 의혹 등, 이번 사건은 권력과 사적 관계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며, 진실 규명을 위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김태영 대표는 누구로부터 휴가 동행 연락을 받았나요?
A.유경옥 팀장(대통령실 행정관)으로부터 연락을 받았습니다.
Q.김태영 대표 부인이 대통령 별장에 함께 갔나요?
A.아니요, 김태영 대표의 부인은 함께 가지 않았습니다.
Q.김 대표는 김건희 여사에게 이우환 화백 그림을 추천했나요?
A.김 대표는 해당 의혹을 부인하며, 거짓된 보도라고 밝혔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점으로도 못 돌아간 지역의료, 의료진 절규… '공공의대' 해법 될까? (0) | 2025.10.15 |
---|---|
외국인 ID 확인 허점, 한국 모바일 가입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다 (0) | 2025.10.15 |
이재명 대통령, '금융의 잔혹함' 지적하며 채무 탕감 필요성 강조: 경제 양극화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0) | 2025.10.15 |
국회 과방위, 욕설·고성 난무하며 파행…'이 한심한 XX야' 발언까지 (0) | 2025.10.15 |
카카오톡 롤백은 기술적으로 '불가능'? 사용자 불편 해소 노력과 미래는? (1) | 2025.10.14 |